'땀'만 봐도 내 몸 상태를 알수 있다.?'땀'만 봐도 내 몸 상태를 알수 있다.?

Posted at 2014. 8. 11. 15:33 | Posted in 뷰 티/다이어트/건강

'땀' 만 봐도 내 몸 상태를 알수있다.?

 

 

땀은 지나치게 많이 흘려도, 아예 없어도 문제입니다.

하지만 체질에 따라 땀의 많고 적음이 다르고 사람마다 땀이 나는 부위가 다릅니다.

내가 흘리는 땀은 어떤 땀이고, 내 건강 상태는 어떤지 체크해 봅시다.

 

땀은 99%의 물과 소금, 칼륨, 질소 함유물로 구성된 액체로 우리 몸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체온이 올랐을 때 땀샘에서 분비된 땀은 노폐물과 수분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데 이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면서 체온을 낮추게 됩니다.

정상적인 땀은 아무런 색깔과 냄새가 나지 않지만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결핵 같은 병에 걸렸을 때는 색깔이 약간 누렇거나 붉은 땀이 납니다. 겉으로 보기엔 똑같아 보일지 몰라도 체질과 몸 상태에 따라 우리가 흘리는 땀의 종류는 각양각색입니다.

 

 

1. 손, 발, 겨드랑이에 집중적으로 나는 땀

우리 몸 특정 부위에서 과도하게 땀이 난다면 일단 다한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다한증이 있는 사람은 주로 손과 발, 겨드랑이와 얼굴에서 땀이 나는데 글씨를 쓸 때 필기구가 젖거나, 땀 때문에 손에 습진이 생기거나 발에 땀이 나서 샌들을 신을 때 미끄러질 정도면 다한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땀의 배출을 조절하는 교감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증세로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정도가 심해집니다. 독서, 차분한 음악 감상과 명상이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땀을 덜 흘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하세요

긴장을 완화하는 대추차와 꿀차를 마시고 커피, 홍차 등과 같이 카페인을 함유한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추, 후추 등 자극적인 향신료 역시 신경계를 자극해 땀을 더 나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하도록 하세요.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라면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하지만 사실 수술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치료법은 없습니다. 수술은 종종 부작용을 동반하기도 하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2, 조금만 움직여도 온몸을 흠뻑 적시는 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기가 허해지고 몸의 여러 장기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이때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데 이는 몸이 땀구멍을 열고 닫는 작용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해 움직임이 많지 않은데도 땀을 과다하게 분비하는 것입니다. 옷을 두껍게 입지 않아도 땀이 수시로 나며, 심한 경우 가벼운 운동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땀이 많이 나기도 합니다. 유산소 운동을 하되 30분 이상은 하지 말고 무리한 업무를 피해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세요

평소 적당한 운동과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해 기운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삼차, 황기차, 오미자차를 마시고 기운을 보충합니다. 여름 보양식으로는 삼계탕이 기운을 보충해주는 좋은 음식입니다.

 

 

3. 속옷 색깔을 누렇게 변하게 하는 땀

땀을 분비하는 땀샘에는 아포크린샘과 에크린샘 두 종류가 있습니다. 특히 아포크린샘이 많이 분포한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에서 나오는 땀은 몸의 세균에 의해 부패되면서 속옷을 누렇게 오염시킵니다. 노르스름한 색을 띠는 땀은 스트레스와 과음으로 간 기능이 현저히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데 혈액 속에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이라는 성분이 증가했다는 표시입니다. 처음에는 무색의 땀이 나다가 점차 색깔이 변하는 것은 피부 조직에도 이상이 있다는 증거로, 땀이 날 때 몸에 열이 나고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현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을 찾아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하세요

평소 목욕을 자주 하고 옷을 자주 갈아입어 몸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과식은 절대 금물.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누런색 땀이 난다면 반드시 병원에 가보세요.

 

 

4. 잠잘 때 흘리는 식은땀

밤에 잠자리에서 자기도 모르게 땀이 나서 옷과 침구를 적시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는 몸이 허하고 특히 신장 기능이 안 좋아져서 나는 땀입니다. 잘 때는 자동으로 체온도 낮아지는데 주로 밤늦게까지 야근을 하는 직업을 가졌거나 잠이 부족한 사람들은 신경이 안정되지 않아서 땀샘을 자극하는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데 이것이 잠을 잘 때에도 땀을 흘리게 만드는 것입니다. 과로하지 말고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것. 침구가 젖거나, 한기를 느껴 잠을 깰 정도로 땀을 많이 흘린다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하세요

당귀차, 둥굴레차, 산수유차는 몸의 기운을 안정시킵니다. 음식으로는 전복죽이 좋고 맵고 자극적인 음식과 술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몸 한쪽에서만 나는 땀

몸을 반으로 나눴을 때 오른쪽이나 왼쪽, 어느 한쪽에서만 땀이 나는 것은 몸 안에서 음과 양이 균형을 잃어 한쪽 기능이 떨어져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보통 한방에서는 신체의 왼쪽 편에만 땀이 나는 경우는 피가 부족하기 때문이고, 신체의 오른쪽에만 땀이 나는 경우는 몸 안의 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심신이 허약해지면서 몸의 항상성이 깨져 불균형한 상태이므로 먼저 과로를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질을 진단받아 보약을 먹고 몸의 기운을 활성화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하세요

인삼차, 쌍화차는 허한 기운을 보충해줄 수 있습니다. 기름진 음식이나 향이 강하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도록 하세요. 

 

 

6. 음식을 먹으면 비 오듯 흐르는 땀

식사를 하는 내내 땀을 흘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미각다한증’이라고도 하는데 위에 과다한 열이 생겨 땀이 나는 경우입니다. 위에 열이 생기는 것은 평소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섭취하거나 음주가 잦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현상. 위의 열기를 빼기 위해 성질이 찬 음식을 많이 먹고, 냉수 찜질을 자주 하면 좋습니다.

이렇게 하세요

식사를 담백하게 하고 음주를 줄여야 합니다. 녹차는 성질이 차서 위의 열을 줄여주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녹차를 자주 마시고 위를 자극하는 커피나 청량음료는 피합니다.

 

7. 고약한 냄새가 나는 땀

겨드랑이의 아포크린샘에서 나는 땀은 약간 끈적끈적합니다. 그 자체로는 냄새가 거의 없는데 이 땀이 세균에 의해 부패되면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입니다. 데오도란트를 사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데오도란트는 장기적으로 쓰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샤워를 자주 하고 면 소재 옷을 자주 갈아입는 습관을 들이는 게 정답입니다. 고기 썩는 것과 같은 노린내가 난다면 간 기능이 저하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하세요

달걀과 육류, 생선을 과다 섭취해도 땀에서 고약한 냄새가 날 수 있으니 적절한 양만 먹도록 합니다.

 

 

8. 아예 땀이 나지 않는 경우

체질에 따라 땀이 적게 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평소 땀이 잘 나다가 갑자기 온몸에 땀이 나지 않는 것은 특정한 질환 때문일 수 있으니 병원에 가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땀이 나지 않으면 발생한 열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체온이 과도하게 상승해 일사병에 걸릴 수 있고, 건조해진 피부에는 피부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너무 자주 목욕을 하면 각질이 일어나 피부가 더욱 건조해지고 심하면 땀이 잘 나지 않는 만성무한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세요

땀이 적은 사람은 목욕 횟수를 줄이고 여름철이라도 목욕 후에는 로션을 발라 피부에 보습을 충분히 합니다.

 

 

'뷰 티 > 다이어트/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린이 시원하게 잡는 비법  (0) 2014.09.02
홍혜걸 박사의 의학 상식  (0) 2014.08.14
건강지키는 보양 밥상  (0) 2014.08.11
회춘 효과 99%  (0) 2014.08.11
몸속 콜레스테롤 낮춰주는 음식  (0) 2014.08.07
//